아침을 왜 안먹어야 하는가
인류가 진화 과정을 거쳐 문명이 발달하면서 세계에 모든 문헌을 살펴보면 점심 저녁 식사의 자료는 있으나 아침밥이란 자료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옛날 일중행사의 기록을 보면 조반은 오시에 들었으며 신시에 저녁을 먹는다 하였으니 오늘날의 시간 관념으로 보면 오시는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 사이가 되며 신시는 오후 4시에서 6시 사이가 된다. 오늘날의 점심이 옛날에는 조반이요, 저녁은 밤참 정도로 생각했던 것이다.
또한 조선조 후기 윤최식이 편찬한 일용지결에는 조선시대의 선비들은 하루 두끼의 식사를 하고 새벽 2시에 일어나 밤 10시에 잠자리에 들때까지 하루 16시간을 공부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또한 조식을 먹지 않았다는 말이다.
생리적으로 볼 때 오전은 배설의 시간이다. 몸 안의 각 기관이 전날 체내에 잔류한 요산, 요독 등 독소를 배설하기 위해 활발히 움직이는 것이다. 그런데 아침에 식사를 하게 되면 인체 장기들이 새로 들어온 음식물을 소화하기 위해 노동을 해야 하므로 독소 배설량이 적어진다.
그러므로 독소를 배설하는 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식사는 하루 한 끼를 오후 2, 3시경 먹는 것인데, 일상적인 생활을 할 때에는 아침을 먹지 않는 1일 2식이 바람직하다.
오전에는 아직 소화기관이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지 않다. 이런 상태에서 갑자기 음식물을 먹는 것은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조식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유해하지만 습관이 되어서 그 해독이 급속히 나타나지 않는것뿐이며 조식이야 말로 무의미한 여분의 식사에 불과하다.
또한 1일 2식을 하게 되면 영양 과잉을 어느 정도 막게 되므로, 각종 현대 질환에 걸릴 확률이 적어진다. 불가의 도승이나 선현 중에는 1일 1식으로 평생을 지낸 사람도 많다.
오늘날 인간은 24시간중 8시간 노동하고 8시간 취미생활 활동하고 8시간 동안는 잠자거나 휴식을 취하는게 바른 생활인것 같다. 음식을 한 끼 먹으면 위를 비롯한 모든 장기는 4시간 노동을 하고 3끼를 먹으면 12시간 노동을 하게 된다.
동방온대지방에 사는 한민족의 창자의 길이는 자기의 않은 키에 10배이며 서북쪽 사람들은 자기의 않은 키에 7배 냊 8배로 구성되어 있다. 영양 칼로리를 말하자면 한대지방 서북쪽 사람은 열을 올리기 위해서 육류를 비롯한 영양을 2500칼로리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동방의 한민족은 온대 지방에 거주하고 장이 길고 곡채식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1200~1500칼로리만 섭취하더라도 노동일을 하는데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조식을 폐지하는 이유는
첫째 오전 4~8시 사이이면 가장 추울 시간인데 추운시간에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가 되지 않는다.
둘째 음식을 먹고 12시간이 지나면 배설을 해야한다. 12시에 점심을 먹게되면 잠자리에 들면서 변을 보게되고 오후 6시에 음식을 먹으면 동이 트면서 배설을 하게 된다. 아침을 먹게되면 어제 먹었던 음식 찌꺼기들이 배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아침을 먹게 되면 십이지장에서 모찌린이란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는다. 모찌린 호르몬은 장을 연동운동시켜 배설을 도와주는 호르몬이다.
대소변이 배설되지 않으면 노폐물이 축척되어 만병으로 발전한다. 하루 세끼를 먹으면 체네에 독소가 75% 배출되고 아침 점심을 먹게 되면 65%가 배출되고 점심 저녁을 먹게 되면 100%가 배출된다.
또한 오후 4시경 하루 한끼만 먹게되면 체네에 독소는 축척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 근대사를 살펴보면 뜻있는 수많은 분들중에 일일 일식한 분들이 많다. 조식폐지만 하게 되면 머리가 맑고 잡다한 질병들은 자연히 치유된다.
아침을 먹고 싶은 이유는 습관에 불과하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장 담그는 일은 한마을의 축제였다. (0) | 2014.10.27 |
---|---|
[스크랩] 한국인, 지난해 유전자변형 콩·옥수수 33Kg 먹었다 (0) | 2014.10.27 |
[스크랩] 치료(테라피)와 치유(힐링)는 다르다 (0) | 2014.10.25 |
[스크랩] 난치병의 치유는 해독(Detox)과 면역력 증강에 있다 (0) | 2014.10.25 |
[스크랩] 감기약 속 항생제 내몸에 미치는 영향 (0) | 201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