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뉴시스 |
국내 연구진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 치료에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는 시각 자극이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인지·사회성연구단 신희섭 단장 연구진은 트라우마 치료와 관계가 있는 새로운 뇌의 회로를 발견했으며, 이와 관련된 심리 치료법의 효과를 세계 최초로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한 논문이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고 14일 밝혔다.
현재 트라우마 치료에는 주로 항우울제 등의 약물이 활용되지만, 일부 정신과에서는 환자가 공포기억을 회상하는 동안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게 시각적 자극을 주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좌우로 반복해서 움직이는 빛의 자극(양측성 자극)이 어떻게 공포반응을 조절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원리가 밝혀지지 않아 널리 활용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공포반응을 보이는 생쥐에게 양측성 자극을 주어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게 했을 때 생쥐의 공포반응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생쥐들은 시간이나 장소가 바뀐 후 비슷한 상황에 부닥쳤을 때도 공포반응이 재발하지 않았다.
연구진은 뇌 영역 중 공포기억과 관련된 새로운 신경회로도 찾았다. 행동·관찰 실험과 신경생리학 기법을 활용한 결과, 눈이 시각적 자극을 받으면 신경 신호가 상구(눈 운동을 조절하는 영역)와 공포기억 억제에 관여하는 중앙 내측 시상핵, 공포를 포함한 감정처리에 관여하는 편도체를 거쳐 공포를 인식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빛을 쏘여 세포 활동을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법으로 상구에서 중앙 내측 시상핵, 편도체로 이어지는 신경회로를 강화하면 공포반응 감소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지만, 이 회로를 억제하면 공포반응 감소 효과가 사라졌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경험적으로만 확인된 심리치료 기법의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입증해 트라우마 치료법의 과학적 원리를 밝힌 것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신희섭 연구단장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한 번의 사건으로 발생하지만, 약물과 심리치료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공포기억 억제 회로를 조절하는 약물이나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에 집중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쉽게 치료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