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北 위성발사 가능성 있다' 대책 논의 중"
장용석 기자 입력 2019.03.20. 14:35 수정 2019.03.20. 14:38
미국 정부가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가능성에 염두에 둔 대책 논의에 착수했다고 19일(현지시간) CNN이 보도했다.
CNN은 이날 미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 "현재로선 북한의 다음 움직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정보가 없지만 위성을 쏠 가능성은 있다는 게 내부 판단"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미국 정부가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가능성에 염두에 둔 대책 논의에 착수했다고 19일(현지시간) CNN이 보도했다.
CNN은 이날 미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 "현재로선 북한의 다음 움직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정보가 없지만 위성을 쏠 가능성은 있다는 게 내부 판단"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이에 따라 "미 정부도 인공위성과 레이더, 전자정보를 이용해 북한의 다양한 장소들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는 게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합의문 서명 없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핵·미사일 실험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은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번 회담을 전후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소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로켓 발사대와 미사일 엔진 시험대 등 작년에 해체했던 일부 시설물을 복구하는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북한의 로켓 발사 재개 가능성이 거론돼왔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위성 발사용 로켓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이 기술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올 초 이란이 인공위성 '파얌'을 발사했을 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비난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관련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 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위성을 쏘더라도 미사일 발사 중단 약속을 깬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다만 미 정부 일각에선 "북한의 위성 발사에 강경 대응할 경우 그동안 추진해온 대북외교가 깨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 당국자는 "북한도 (위성 등의) 발사가 북미 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안다"면서 "북한도 미국과의 외교를 계속 유지하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한다는 게 정보당국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최근 동창리 발사장 등에서 포착된 움직임의 경우 실제 로켓을 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게 이 당국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위성 발사 여부는 내부 사정에 달렸다"며 "김 위원장이 군부 등을 상대로 강한 지도자임을 과시하려 한다면 쏠 수도 있다"고 말했다.
CNN은 "북한이 위성을 쏠 경우 미 정부는 대북 강경노선을 취할지 아니면 기존의 외교적 접근법을 유지할지에 대한 선택의 기로에 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ys4174@news1.kr
'하나님 의 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이모저모 (최효진 선생)|더이상 숨을 곳은 없다, 주류언론은 이때문에 붕괴하고, 모든게 계획되로 가며 타이밍이 모든것tp (0) | 2019.03.20 |
---|---|
[Q아논 정보] 그 날의 시작입니다~!| (0) | 2019.03.20 |
중국 독가스 일본까지 안 가고 한국에 꽉차 있는 이유/삼성은 죽이고 중국 알루미늄공장은 들어온다 (0) | 2019.03.19 |
나이지리아에서 최근 풀라니족에 의해 120명 사망 (0) | 2019.03.19 |
28세의 백인 남성이 이슬람 사원에서 총기를 난사해 100여명의 사상자를 낸 사건 (0) | 2019.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