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편소설 대지(大地)로 1938년 노벨 문학상을 탄 펄벅(Pearl S. Buck, 1892~1973) 여사가 1960년에 처음 한국을 방문했다.
그녀는 우선 여행지를 농촌마을로 정하고 경주를 방문하던 그녀의 눈에 진기한 풍경이 발견됐다.
그것은 황혼 무렵, 지게에 볏단을 진 채 소달구지에 볏단을 싣고 가던 농부의 모습이었다.
펄벅은 힘들게 지게에 짐을 따로 지고 갈 게 아니라 달구지에 실어버리면 아주 간단할 것이고, 농부도 소달구지에 타고 가면 더욱 편할 것인데~ 라고 생각하고...

펄 벅이 농부에게 다가가 물었습니다.
"왜 소달구지를 타지 않고 힘들게 갑니까?"
그러자 농부가 말했습니다.
에이, 어떻게 타고 갑니까...
저도 하루 종일 일했지만,
소도 하루 종일 일했는데요.
그러니 짐도 나누어서 지고 가야지요.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지만, 그녀는 고국으로 돌아간뒤 이 모습을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서양의 농부라면 누구나 당연하게 소달구지 위에 짐을 모두 싣고, 자신도 올라타 편하게 집으로 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농부는 소의 짐을 덜어 주고자 자신의 지게에 볏단을 한 짐지고 소와 함께 귀가하는 모습을 보며 전 온몸에 전율을 느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