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way to heaven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살아서 나를 믿는자는 영원히죽지아니하며

on the way to heaven

포토

[스크랩] 펄벅여사를 감동시킨 한국농부의 마음

샤론의 수선화 2018. 9. 28. 15:36

             









    펄벅여사를 감동시킨 한국농부의 마음


장편소설 대지(大地)로 1938년 노벨 문학상을 탄 펄벅(Pearl S. Buck, 1892~1973) 여사가 1960년에 처음 한국을 방문했다.

그녀는 우선 여행지를 농촌마을로 정하고 경주를 방문하던 그녀의 눈에 진기한 풍경이 발견됐다.

그것은 황혼 무렵, 지게에 볏단을 진 채 소달구지에 볏단을 싣고 가던 농부의 모습이었다.

펄벅은 힘들게 지게에 짐을 따로 지고 갈 게 아니라 달구지에 실어버리면 아주 간단할 것이고, 농부도 소달구지에 타고 가면 더욱 편할 것인데~ 라고 생각하고...


펄 벅이 농부에게 다가가 물었습니다.
"왜 소달구지를 타지 않고 힘들게 갑니까?"

그러자 농부가 말했습니다.

에이, 어떻게 타고 갑니까...
저도 하루 종일 일했지만,
소도 하루 종일 일했는데요.


그러니 짐도 나누어서 지고 가야지요.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지만, 그녀는 고국으로 돌아간뒤 이 모습을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서양의 농부라면 누구나 당연하게 소달구지 위에 짐을 모두 싣고, 자신도 올라타 편하게 집으로 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농부는 소의 짐을 덜어 주고자 자신의 지게에 볏단을 한 짐지고 소와 함께 귀가하는 모습을 보며 전 온몸에 전율을 느꼈다."고 말했다.


펄벅여사는

따지않은 감이 달려있는 감나무를 보고는 “따기 힘들어 그냥 두는거냐”고 물었다가 “까치밥이라 해서 겨울새들을 위해 남겨둔 것”이라는 설명을 듣고

“바로 이거에요. 내가 한국에서 와서 보고자 했던 것은 고적이나 왕릉이 아니었어요. 이것 하나만으로도 나는 한국에 잘 왔다고 생각해요”라고 탄성을 지르기도 했다.

펄벅여사가 감동했듯이 감이나 대추를 따더라도 '까치밥'은 남겨두는 배려를 하는 민족이 우리 민족이다.

우리 선조들은 씨앗을 심어도 셋을 심었다.

하나는 하늘(새)이,
하나는 땅(벌레)이
나머지는 내가 나눠먹겠다는 뜻
에서였다.

이렇듯 씨앗하나에도 배려하며, 소의 짐마저 덜어주려는 선조들의 마음과, 그것을 단순히 넘기지않고 감동으로 받아들인 펄벅여사의 시각과 마음이 아쉬운 요즘이다.



출처 : 카톡으로 받은 글과 '허준혁 칼럼'을 보고 편집자가 통합비교 첨삭
편집 : 신나라
Ernesto Cortazar - When I See The Sky


출처 :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
글쓴이 : only one 원글보기
메모 :